본문 바로가기

기타등등

마음이 가는대로 행동하여도 어긋남이 없는 경지 내가 하고싶은 대로 하여도 이가 하늘의 뜻과 어긋남이 없는 경지에 이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정강길님의 책을 보다가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발견한 것 같아서 기쁜 마음에 적어둔다. 언제나 내가 서 있는 자리에 대한 상황에 민감하라. 이것은 과 나를 둘러싸고 있는 에 대한 가능한의 객관적 분석과 이에 대한 최선의 합리적 판단을 추구하는 것 그리고 이에 대한 계속적 수련을 쌓는 것이 바로 만무滿無로 나아가는 지름길이다. 정강길, 화이트헤드와 새로운 민중 신학, p259 더보기
Manifestation and Remanifestation In Buddhism, we do not actually use the word "reincarnation." We say "rebirth." But even rebirth is problematic.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the Buddha, "birth" does not exist either. Birth generally means from nothing you become something, and death generally means from something to nothing. But if we observe the thing around us, we find that nothing comes from nothing. Before its so-called b.. 더보기
타인을 위한 삶 1. WHY : 왜 타인을 위하여 살아야 하는가? 아직까지 이 질문에 대해 확신에 찬 대답을 찾지 못하고 있다. 진화론에서는 이타주의를 상호호혜를 바탕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 설명은 마더 테레사의 헌신적인 사랑을 설명하지 못한다. 마더 테레사가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중에 무엇을 받기 위하여, 또는 천국을 가기 위하여 사랑을 베풀지는 않았으니까. 성서에서 예수님은 두 가지 계명을 주셨다. 하느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고. 그런데 왜 그런지는 말씀해 주시지 않았다. -_-;; 불교에서는 자비를 베풀어야 하는 이유로 空을 말한다. 우주의 만물은 각기 존재하지 않고 연결되어 있으므로 다른 생명을 사랑하는 일은 곧 자신을 사랑하는 일과 같다고 말한다. 정강길 선생님 말처럼 신의 장대한 계획 - 만인을 위한 세상.. 더보기
왜 God인가? 난 오랜 시간 성당에 다녔었고 지금도 교회 예배를 나가지만, 마음 한 켠의 찜찜한 구석을 숨길 수 없다. 그 찜찜함은 '왜 애초에 신이라는 존재를 상정해야 하는가?'라는 의문에서 나온다. 전지 전능하고 선하신...이라는 신의 특성 또한 이해하기 어렵지만 이보다 더 큰 문제는 신 그 자체에 대한 의문이다. 자신에게 간절한 소망이 있는데 그 소망이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에서 기도를 하는 대상으로서의 신은 전혀 설득력이 없다. 또한 보이지도 들리지도 않는 하나님을 그저 '믿는 사람은 행복하다'는 성경 구절을 근거로 믿기에는 매우 부족한 느낌이다. 그렇다면 직접적인 체험은 어떠한가?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말하는 '하나님 체험' 은? 하지만 나에겐 그러한 체험도 의문 투성이이다. 그것이 정말로 신적인 체험인지 아닌.. 더보기
실재하는 세계를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는가 1. 한 스님의 강의 유튜브에서 한 스님의 강의를 듣게 되었다. 불교의 깨달음, 즉 '있는 그대로를 올바르게 아는 것'의 중요성을 말씀하신 내용이었다. 요즘 배우고 있는 부분과도 관련이 있어서 아주 흥미롭게 봤다. 스님이 말씀하신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실제의 세계는 내가 바르게 인식하던 잘못 인식하던 나의 의식과는 상관 없이 알아서 돌아가고 있다. 만약 내가 실재를 잘못 인식하고 있다면 두가지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첫째, 잘못된 인식이지만 이로 인해 크게 문제가 없는 경우 둘째,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엉뚱한 결과가 초래되는 경우 첫번째의 경우, 법륜 스님이 드신 예는 농부의 예이다. A라는 신을 믿는 농부는 농사가 잘될 때 자신이 A를 믿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B라는 신을 믿는 농부는 자신이 믿는 신.. 더보기
인간이 항상 행복하진 않은 이유 진화론 책을 읽다가 흥미로운 이야기를 발견해서 옮김. Recall that evolution does not have out happiness as a goal. In order for happiness to evolve, it must serve our fitness. Would a person who was happy all the time leave more offspring than one who was sometimes happy and sometimes sad? We need to respond appropriately to the situation: to be happy when our fitness has increased and be sad when it has decreased. (.... 더보기
기도문 With a wish to free all beings I shall always go for refuge To the Buddha, Dharma, Sangha Until I reach full enlightenment. Enthused by wisdom and compassion, Today in the Buddha’s presence I generate the Mind Wishing Full Awakening For the benefit of all sentient beings. As long as space remains, As long as sentient beings remain, Until then, may I too remain, And dispel the miseries of the wor.. 더보기
Cultivating equanimity - 자비심을 기르기 위한 과정으로서의 마음의 평정 Genuine compassion must be unconditional. We must cultivate equanimity in order to transcend any feelings of discrimanation and partiality. One way to cultivate equanimity is to contemplate the uncertainty of friendship. First we must consider that there is no assurance that our close friend today will remain a friend forever. Similarly, we can imagine that our dislike for someone will not neces.. 더보기
괴로운 감정을 어떻게 다스릴 것인가 1. 괴로운 감정을 다스리는 세가지 단계 Mental afflictions do not simply vanish over time. They come to an end only as the result of conscious effort to undermine them, diminish their force, and ultimately eliminate them altogether. If we wish to succeed, we must know how to engage in combat with our afflictive emotions We begin our practice of the Buddha’s Dharma by reading and listening to experienced teachers.. 더보기
Ken Wilber의 포괄+초월 개념에 따른 자비 1. Ken Wilber가 말하는 자비와 사랑 모든 것이 holon이고 온 우주가 holarchy적이라는 Wilber의 주장에 따르면, 우리가 자연을 파괴하는 것은 곧 우리 내부를 파괴하는 일이다.우주는 matter에서 life로, life에서 mind로 진화해왔다. 인간은 biosphere를 포함하면서 동시에 이를 초월한 존재이므로, 만약 biosphere를 파괴하면 곧 자신을 구성하는 한 요소를 파괴하는 것과 같다. 자연을 파괴하는 것은 한참 후 결과적으로 나를 파괴하는 외부의 어떤 대상을 파괴하는 행위가 아니라, 곧 나 자신을 구성하는 부분을 직접적으로 파괴하는 자살 행위이다. 이러한 설명은 왜 다른 생명을 소중히 하고 그들에게 자비심을 가져야 하는지를 잘 말해준다. The point of genu.. 더보기